[박성현의 ‘만인보’로 읽는 한국사]
http://coverage.kr/sub.php?code=article&category=12&mode=view&board_num=321
박성현의 '만인보로 읽는 한국사' 연재를 시작합니다. 이 연재는 박성현 고은재단 아카이브 책임연구원의 기고로 진행됩니다. 박성현 연구원은 최근까지 프랑스에서 고은 시인의 시세계를 연구하고 전파하다 한국에 이제 막 돌아온 ‘고은 전문가’입니다. 1989년 연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한 뒤, 1997년 모스크바 대학에서 미학박사를 받았으며, 이후 프랑스로 건너가 지난해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고은, 한국의 시와 역사: 만인보의 세계>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했습니다. 매주 월요일 연재되는 이 글을 통해 고은 시인의 연작시 '만인보'에 담겨 있는 민중의 모습과 함께 근현대 한국사를 좀더 세밀하게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편집자>
설이 일주일 후로 다가왔다. 아마도 이번 주말부터 연례행사인 ‘민족의 대이동’이 시작될 것이다. 모두가 넉넉한 마음으로 명절을 즐기면 좋겠으나, 누군가는 집안의 즐거운 명절을 준비하느라 과로와 스트레스가 쌓일 것이고, 누군가는 체불임금으로 인해 암울한 명절을 앞두고 있을 것이며, 누군가는 설레는 마음으로 해외여행을 떠날 수도 있고, 또 누군가는 평소와 같이 연탄을 아껴 때며 홀로 고적한 날을 보내게 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70여년 전, 1940년대 <만인보>의 사람들은 어떤 명절, 어떤 일상을 보내고 있었을까?
△정원대보름에 한해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달집 태우기가 진행되고 있다.(사진=향토문화전자대전)
그러나 일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없어지지 않았던 ‘음력 설’은 해방 이후에도 정권에 의해 여전히 푸대접을받게 되는데, 그 이유는 전통적인 설이 구식이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양력으로 설을 지내야 국제무역통상에도 지장이 없다는 것이었다. 이승만, 박정희 정부 내내 일제의 유제 그대로 이른바 ‘신정’이 강조되고 설은 ‘구정’으로 폄하되어 국민들은 음력, 양력으로 두 번 설을 쇠게 된다. 이렇게 실질적으로는 이중과세(過歲)의 문화 속에서 공식적으로는 ‘양력 설’이 의무였으나, 본래의 설날은 1985년 ‘민속의 날’이라는 조금 우스꽝스러운 혹은 괴상한 이름의 ‘1일 공휴일’로 부활되어 ‘양력 설’과 병행되게 된다. 설날이 완전히 제 이름과 제 자리를 회복한 것은 1989년 음력 1월1일부터이다. 이로부터 설날은 3일 연휴로, 양력 1월1일은 1999년부터 1일 공휴일로 바뀌게 된다.
설 명절은 전통적으로 정월 초하루에서 대보름까지 계속되었는데, 새해 첫날의 시작과 첫 달 첫 만월의 풍요로움이 갖는 상징성은 농경문화에서 중요할 수밖에 없었으리라. “내 더위 / 내 더위 / 대보름 식전바람 더위 팔고 신나지 / 동네 아이들 신나지 // 그러나 어른들은 / 대보름 지나면 싫지 / 설날부터 대보름까지는 / 어영부영 놀고 / 마을에서 / 징소리 / 장구소리 그치지 않았지 // 대보름 지나면 싫지 / 논에 거름 부리러 / 거름 지고 나가야지 / 한삽 한삽 언 땅 파 / 뼈빠지게 객토해야지”(‘대보름’, 5권). 정월 대보름을 기점으로 농한기를 끝내고 다시 새로운 한 해의 농사를 준비해야 하는 농민의 심정이 이 시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농사란 게 워낙 일이 많고 고되다보니 “해 뜨면 / 해가 원수”라서 “밀린 일(이) 한꺼번에 달려”든다. “그래서 대보름날 밤에는 / 영락없이 / … / 술 먹다가 / 싸움 씨 뿌려 / 멱살잡이 싸움 벌어지지 // 그런 싸움 맡아놓은 / 새터 김상술이 / … // 싸우고 나서 / 그렇게도 무색한 상술이 / 싸우고 난 뒤에는 / 안 들어 줄 일도 / 순순히 들어 주지 / 중뜸 재환이 마누라 옹색하면 / 상술이 싸움 뒤에 / 상술이한테 돈 꾸어오지”(앞의 시).
△한해 풍년과 건강을 기원하며 들판의 병해충을 잡는 세시풍속 쥐불놀이가 펼쳐지고 있다. (사진=향토문화전자대전)
명절에 같이 모여 잘 놀다가도 싸움 한 판쯤 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농촌이나 도시나, 별반 달라 보이지 않는다. 인간사가 다 거기서 거기라 그런 것일지는 모르겠으나, 싸움 뒤 무색해 “안 들어 줄 일도 / 순순히 들어 주”는 심성은 요즘 쉽게 볼 수 없을 듯하다.
한편, “1년 열두 달 가야 / 초파일에도 / 칠월 백중날에도 / 불공 한 자루 그럴듯한 것 안 들어오”는 칠성암의 주지는 “나운리 미룡리 선제리까지 / 누가 병들었나 수소문하여 / 숨 꼴칵 넘어가는 날 영락없이 달려와 / 나무아미타불 불러”대 “칠성암 법당 부처님 밥 먹이”는 처지이다. 그러나 그 와중에도 성·속의 할 도리를 다하는 인간적인 면모가 다음 구절에 익살스럽게 묘사되어있다. “그런데 / 칠성암 주지 조봉구 스님 / 한번 마음에 봄바람 들면 / 보릿고개 못 넘기는 사람 / 보리가마니깨나 넙죽 내어주지 / 두말없이 내어주지 / 오거리 술집 주모 병났을 때는 / 구암병원 입원비 다 물어주고 / 참 내 오거리 술깨나 먹은 죄 / 어쩌다가 그년 살보시깨나 받은 죄 / 이번에 절반은 갚은 셈이지 낄낄낄낄”(‘칠성암 주지’, 3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세상] ‘아이폰7’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0) | 2016.02.04 |
---|---|
[현장] 마흔 일곱 된 회현시민아파트, 혹한에 안녕한가 (0) | 2016.02.04 |
[박성현의 ‘만인보’로 읽는 한국사] ④역사는 ‘나선형’으로, ‘지그재그’로 발전하는가? (0) | 2016.02.01 |
10년간 패했던 野, 군웅 할거시대 맞다 (0) | 2016.01.28 |
[박성현의 ‘만인보’로 읽는 한국사] ③70년대 사람들(1) 문익환-“대지는 순정이기에 때로 과장된다” (0) | 2016.01.20 |